아이폰은 2007년 첫 공개 이후 매년 새로운 모델을 선보이며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어 왔습니다. 한국에서도 2009년 iPhone 3GS부터 정식 출시가 시작되었고, 이후 매 세대마다 많은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폰 시리즈 순서를 표로 정리하고, 한국 출시일과 주요 스펙, 그리고 세대별 특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이폰 시리즈 순서와 출시일 정리
연도 | 모델명 | 발표일 | 주요 특징 |
---|---|---|---|
2007 | iPhone (1세대) | 2007년 6월 29일 | 첫 아이폰, 멀티터치 UI |
2008 | iPhone 3G | 2008년 7월 11일 | 3G 네트워크, 앱스토어 공식 지원 |
2009 | iPhone 3GS | 2009년 6월 19일 | 속도 향상, 동영상 촬영 가능 |
2010 | iPhone 4 | 2010년 6월 24일 | Retina 디스플레이, 전면 카메라 |
2011 | iPhone 4S | 2011년 10월 14일 | Siri 도입, 카메라 성능 강화 |
2012 | iPhone 5 | 2012년 9월 21일 | LTE 지원, 4인치 디스플레이 |
2013 | iPhone 5S / 5C | 2013년 9월 20일 | Touch ID, 칩셋 성능 향상 |
2014 | iPhone 6 / 6 Plus | 2014년 9월 19일 | 대화면, NFC, 애플페이 |
2015 | iPhone 6S / 6S Plus | 2015년 9월 25일 | 3D Touch, 4K 동영상 |
2016 | iPhone SE (1세대) | 2016년 3월 31일 | 소형 크기, A9 칩 |
2016 | iPhone 7 / 7 Plus | 2016년 9월 16일 | 방수 지원, 이어폰 단자 제거 |
2017 | iPhone 8 / 8 Plus | 2017년 9월 22일 | 무선 충전, 성능 향상 |
2017 | iPhone X | 2017년 11월 3일 | OLED, Face ID, 베젤리스 디자인 |
2018 | iPhone XS / XS Max / XR | 2018년 9월 21일 (XS), 10월 26일 (XR) | A12 칩, 다양한 크기 옵션 |
2019 | iPhone 11 / 11 Pro / 11 Pro Max | 2019년 9월 20일 | 트리플 카메라, 야간 모드 |
2020 | iPhone SE (2세대) | 2020년 4월 24일 | 소형+저가 라인 강화 |
2020 | iPhone 12 시리즈 | 2020년 10월 23일 | 5G 지원, MagSafe, OLED 전면 |
2021 | iPhone 13 시리즈 | 2021년 9월 24일 | 센서 시프트, 배터리 향상 |
2022 | iPhone SE (3세대) | 2022년 3월 18일 | 최신 칩셋 + 홈버튼 유지 |
2022 | iPhone 14 시리즈 | 2022년 9월 16일 | 위성 SOS, Dynamic Island(프로) |
2023 | iPhone 15 시리즈 | 2023년 9월 22일 | USB-C, 카메라 업그레이드 |
2024 | iPhone 16 시리즈 | 2024년 9월 20일 | AI 기능 강화, A18 칩 |
2025 | iPhone 17 시리즈 | 2025년 9월 19일 | 120Hz 전 모델 확대, A19 칩 |
아이폰 세대별 주요 특징
1. 아이폰의 시작과 초기 모델
한국에서 정식으로 판매된 첫 모델은 iPhone 3GS입니다. 지금 보면 단순한 사양이지만 당시에는 혁신적인 멀티터치 경험과 앱스토어 도입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iPhone 4에서는 레티나 디스플레이와 전면 카메라가 탑재되며, 스마트폰의 기준을 새롭게 세웠습니다.
2. 대화면과 성능 경쟁의 시작
iPhone 5는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교체 수요를 보였습니다. 이어서 iPhone 6 시리즈는 처음으로 대화면을 도입하여 4.7인치와 5.5인치 모델로 출시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NFC가 추가되며 결제 방식에도 아이폰 시리즈 순서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3. 혁신적인 디자인 변화
iPhone X는 애플의 10주년 기념작으로, 홈 버튼을 없애고 Face ID를 도입한 모델입니다. OLED 디스플레이와 베젤리스 디자인은 이후 아이폰 디자인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XR, XS 시리즈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디스플레이 옵션이 제공되었고, 사용자 선택 폭이 넓어졌습니다.
4. 카메라와 배터리 중심의 진화
iPhone 11 이후부터는 카메라 성능과 배터리 효율 향상이 핵심이었습니다. 야간 모드와 초광각 렌즈, 센서 시프트 손떨림 보정 등으로 사진과 영상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iPhone 12에서는 디자인이 평면 프레임으로 바뀌고, MagSafe 기능이 추가되어 무선 액세서리 생태계를 강화했습니다.
5. 최신 아이폰의 특징
아이폰 15 시리즈는 라이트닝 포트를 버리고 USB-C 포트를 도입하면서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또한 Dynamic Island가 기본 모델까지 확대되며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었습니다. iPhone 17 시리즈에서는 모든 모델에 120Hz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냉각 시스템이 보강되며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성이 강화되었습니다.
아이폰 시리즈 순서로 보는 발전 흐름
애플에서는 매 세대마다 하드웨어 성능과 소프트웨어 경험을 동시에 끌어올렸습니다. 단순히 스마트폰이 아닌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출시일을 기준으로 정리된 아이폰 시리즈 순서를 확인해 보면, 애플이 어떤 방향으로 기술을 발전시켜 왔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아이폰은 카메라, 배터리, 인공지능 기능을 중심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모델을 미리 파악하고 아이폰 시리즈 순서를 보고 비교해 두면, 본인에게 맞는 기기를 고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저역시도 아이폰5부터 계속 업그레이드 해와서 13년가량 지속적으로 사용중인데. 표를 만들면서 다시 돌아보면서 추억이 새록새록 돋네요.